통계청이 충격적인 발표를 했다.

“90년대생이 출산율 회복 마지막 희망이다!!”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출산율은 0.84명이다. 채 1명도 되지 않는 숫자다. 통계청은 90년대생을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한 마지막 희망이라고 발표했다. 혼인과 출생 감소 원인 중 하나가 30대 초반 여성 인구의 감소인데, 2021년부터 30대 여성 인구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2022년, 다시 출산율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을 두고 세간에 많은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통계청의 발표는 복잡하게 얽힌 사회적, 문화적 배경이 결여되어 있다. 단순히 통계 수치만 보고 단편적인 부분으로만 예측한 것 같다. 사실 20·30세대가 결혼과 출산을 하지 않는 이유는 다양하다. 책 <혼자 살아도 괜찮아>를 참고해 그 이유를 요목조목 따져보고자 한다.

1) 아이를 적게 낳는 환경 속에서 성장

젊은 세대는 아이를 적게 낳는 환경에 익숙하다. 과거 10명 가까이 대가족을 이루며 살던 기성세대와는 달리 젊은 층은 자녀가 1~2명인 핵가족에 매우 익숙하다. 자연스럽게 이들은 자녀를 낳아야 한다는 압박이 덜한 성향을 지니게 되었다. 굳이 아이를 낳지 않아도 괜찮게 잘 살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을 갖게 되었다.

2) 직업적 가치관 변화

젊은 세대는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 일하지 않는다. 가장의 역할이 중요시되었던 과거 사회 풍토와는 달리 지금은 개인의 성장, 커리어 쌓기와 같은 자아실현적 요소에 초점을 맞춘 직업관이 대세다. 젊은 세대는 가정을 지키기 위해 일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 완전한 자아로 사는 삶, 혹은 개인적 부를 축적하기 위한 삶을 살기 위해 일한다.

3) 경제적 불안정성

고용 불안정성, 늦은 취업으로 인해 젊은 세대는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독립하기보다는 부모와 함께 사는 방법을 택한다. 특히 경기가 어렵고, 취업률이 급감하는 시기는 이런 경향이 더욱더 짙어진다. 통계적으로도 부모와 함께 사는 젊은이들이 독립해서 사는 젊은이보다 경제적 여유가 있다는 결과가 있다.

4) 소비 패턴 변화

젊은 세대는 자신을 위한 소비를 즐긴다. 기업 입장에서도 이런 젊은이들의 소비풍토를 반기는 추세다. 연구 결과를 보면, 가족 단위보다 독신이 소비 성향이 짙다고 언급한다. 이런 이유로 인해 기업은 싱글의 소비를 장려하는 대대적인 마케팅을 진행하게 되고, 이를 위해 싱글 생활을 장려하기까지 한다. 여기에 영향을 받은 젊은 세대는 더욱더 개인을 위한 소비를 추구한다.

5) 길어진 교육 기간

교육을 받은 기간이 길어질수록 결혼과 출산을 미루는 경향이 많다. 통계 자료에 따르면, 교육을 많이 받은 사람일수록 자립 혹은 개인주의적 가치관을 짙게 띤다고 말한다. 그래서 가족을 이루는 것보다 개인의 진로 문제 혹은 경력개발에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게 된다.

6) 종교적 가치관 약화

과거에는 종교적 의무 때문에 결혼과 출산을 선택하는 일이 많았다. 그러나 젊은 세대는 ‘신’ 보다는 자신의 ‘양심’에 따라 사는 것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종교적 의무를 따르는 것은 주도적이지 않은 삶을 살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인다. 자유로운 한 개인으로서 살아가는 것이 가장 참다운 자아를 표현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7) 싱글라이프를 칭송하는 문화

20·30세대는 싱글라이프를 미화하는 대중문화에 길들어져 있다. 더군다나 출산과 육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다룬 콘텐츠에 많이 노출된다. 이들은 가족을 이루며 살아가는 것을 하나의 구속으로 받아들인다.

8) 도시 거주

대부분 젊은 세대는 도시에 사는 것을 선호한다. 다양성을 추구하는 도시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도시에 몰려든 젊은이는 가족을 만들어야 한다는 전통적 가치관을 버리고 경제적 기회, 개인적인 경험, 경력 개발에 더욱 힘쓰는 경향이 짙다.

90년대생은 통계청의 기대와 달리 출산율 극복에 전혀 기여하지 않을 것 같다. 이미 이들은 가정을 이루고 사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많다. 개인주의적 가치관을 지니고 있는 90년대생에게 무작정 저출산 극복을 위한 희망이라고 결론짓는 것은 성급하다고 본다. 정말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 먼저 위에 언급한 8가지를 해결할 방법을 알아보는 게 낫지 않을까 싶다.

참고

1) 아이 안 낳는 대한민국, ’90년대생’이 마지막 희망이라는 대한민국, 라이프 (링크)

2) 이미지 출처: 영화 <엑시트>

3) 이미지 출처: 통계청

3) 책 <혼자 살아도 괜찮아>

Written by HL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