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처럼 돈 버는 방법에 대한 콘텐츠가 많았던 적이 있었나 싶다. 그런데 문제는 자신이 뭘 하고 싶은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너무나도 많다는 데에 있다. 그래서 넘쳐나는 ‘돈 버는 법 콘텐츠’에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걸지도 모른다. 하지만 중요한 건 돈 버는 방법이 아니라 자신에 대한 메타인지를 올리는 것임을 놓치고 있는 사람이 너무 많다. 자신에 대해 제대로 알아야만 하는 이유 3가지에 관해 지금부터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에드윈 캣멀 (Edwin Catmull)

첫째, 기회로 보이지만, 아닌 것들을 구별할 수 있다.

픽사가 지금의 픽사가 되기까지 우리가 모르던 놀라운 사실이 많았다. <픽사 이야기>에서는 픽사 사장이었던 에드윈 캣멀의 과거가 나온다. 어릴 때부터 디즈니의 애니메이터가 되는 것이 꿈이었던 캣멀은 자신의 그림에 대한 재능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꿈을 포기했었다. 하지만 컴퓨터로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또 다른 꿈을 꾸기 시작했다. 그는 대학원 과정에서 교수와 함께 디즈니에 접촉을 시도했지만, 디즈니 경영진은 컴퓨터 그래픽에 관심이 없었다. 그 대신 디즈니 월드에 설치할 롤러코스터를 디자인하는 작업을 컴퓨터로 도와달라는 제안을 받는다. 하지만 캣멀은 제안을 거절했다. 과연 나라도 그렇게 할 수 있었을까? 어떻게든 꿈의 디즈니와의 협업을 통해 무슨 기회든 잡겠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캣멀은 자신의 비전이 확실했기 때문에 그런 제안을 기회로 보지 않고 거절할 수 있었다. 만약 그가 그 제안을 받아들였다면 픽사가 생길 수 있었을까? 그후 그는 다시 연구실로 돌아가 엄청난 성과를 만들어낸다. <다크호스>에서도 자신이 느끼는 ‘충족감’을 채우는 미시적 동기를 잘 아는 사람은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괴짜 같은 선택을 스스럼없이 한다고 한다. 그런 확신은 자신을 잘 아는 사람만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런 사람은 어떤 게 기회인지 아닌지를 뚜렷하게 구별할 수 있다.

둘째, 전력을 다해야 하는 순간을 알 수 있다.

우리에게는 해야 하는 일(Must)과 하고 싶은 일(Want)가 있다. 어떤 사람은 하고 싶은 일이 없어 괴로워하는 사람도 있는 반면에 어떤 사람은 하고 싶은 일은 많은 데 자신이 해야 하는 일과 연결점이 없어 고통스러워하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가 먹고살기 위해서는 해야 하는 일(Must)을 하며 버티는 시간도 필요하다. 그러면서 자신이 원하던(Want) 일에서의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실력을 갈고닦는 노력도 끊임없이 해야 한다. 우리가 인생에서 전력을 다해 미친 듯이 노력을 해야 할 때(기회를 잡아야 할 때)가 이 Must와 Want가 아주 작은 점으로라도 교집합이 생길 때를 말한다. 자신이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를 모르거나, 자신이 뭘 할 수 있는지(히든 에셋)를 모르는 사람은 계속해서 괴로울 수밖에 없다. 메타인지가 높아야 기회를 잡을 수 있다.

셋째, 현재에 충실할 수 있다.

한 사람의 성공은 단순히 그 사람의 재능에 의해서만 결정 나지 않는다. 운도 큰 역할을 하고 사람과의 관계 또한 무시 못 한다. 자신에 대한 메타인지가 높은 사람은 그 순간에 몰입할 줄 안다. 쓸데없는 망상으로 시간을 소모하지 않는다. 현재에 충실할 수 있는 사람은 프로젝트마다 최선을 다한다. 이는 자신의 커리어에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친다. 후에 어떤 일과 연결되어 기회가 올지 모르기 때문이다. 사람에 대한 평가와 신뢰는 천천히 쌓아 올려지는 것임을 잊지 말자. 그러기 위해서는 매 순간 매 순간 충실해야 한다는 것 또한 기억해야 한다.

지금은 큰 성공을 거둔 사람들의 이야기가 나와 동떨어진 것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그들도 그 당시에는 혼란스러웠고 패배자였다. 그런데도 자신이 믿는 것을 끝까지 해내려고 하는 자세가 그들을 성공으로 끌어올려 준 건 아닐까? 성장과 성공에 있어 중요한 건 ‘특정한 방법’이 아니라 ‘기울기’라는 걸 <픽사 이야기>와 <다크호스> 속 사례들을 통해 다시 한번 느낀다.

참고 :

1) 픽사 이야기, 데이비드 A. 프라이스

2) 인생에서 목숨 걸어야 할 때!!, 유튜브 신박사tv_로크미디어_TheB (링크)

3) 다크호스, 토드 로즈/오기 오가스

4) 이미지 출처 : 위키피디아(링크), 문화창고(링크), 드라마 <번외수사>

Written by 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