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각박하게 만드는 것에 많은 것들이 있지만, 특히 아쉬운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칭찬이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도 있고, 칭찬이 얼마나 큰 효과를 발휘하는지 알려주는 심리학 연구 결과도 정말 많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칭찬에 많이 인색한 것 같다. 다음은 인터넷에서 레전드로 꼽히는 피드백 사례이다. 보고 있으면 참 너무한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익명이 보장되는 인터넷에서 사람들이 너도나도 전문가 행세하는 거야 하루 이틀도 아니니 굳이 이 점을 지적하고 싶지는 않다. 예시로 든 사례의 경우 피드백의 종류도 일종의 비평이기 때문에 누구나 개인적인 의견을 자유롭게 피력할 수 있기도 하다. 오히려 전문가만 의견을 말할 수 있다고 하면, 소통을 가로막는 억압이 될 수도 있다.

그래도 안타까운 것은 단점만 지적하려는 태도다. 물론 여기 나온 단점이 전부 틀린 소리는 아니다. 아무리 유명한 작곡가가 만든 노래라고 해도 단점이 있을 수 있고, 특히나 유명하지 않은 곡이라면 분명 어딘가 아쉬운 부분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래도 찾아보면 장점이라고 부를 부분이 분명 존재한다. 전문가가 작곡한 곡이라면, 안정감이라든가 실수가 없다는 점 등 아마추어와 다른 전문성이 분명 드러나게 되어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를 굳이 찾아보지도 않고, 언급하지도 않는다. 단점만 지적하기 바쁘다.

사실 이는 인간의 본성이기도 하다. 인간은 단점과 문제점을 더 잘 파악하도록 진화했다. 왜냐하면 과거에는 그런 작은 단점이 생존과 바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사소한 실수가 맹수에게 기회를 제공하면, 인간은 잡아먹힐 수밖에 없는 나약한 존재였다. 하지만 지금은 세상이 바뀌었다. 단점을 놓친다고 그것이 생존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반면에 장점을 놓치면 많은 것을 놓치게 된다. 물론 장점을 놓쳐도 생존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하지만 장점에는 성공의 기회가 있다. 단점을 극복하는 것보다 장점을 더 키우는 게 성공에 유리하다는 긍정심리학 연구 결과도 많다. 그래서 장점을 찾으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본능만 따르면 단점만 찾다가 기회를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피드백의 기회가 왔을 때 장점을 찾는 것이 여러모로 좋다. 타인을 칭찬하는 행위는 타인에게 동기와 의욕을 북돋는 일이기도 하지만, 칭찬하는 본인도 장점을 찾는 의식적 노력을 연습하는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나도 여러 커뮤니티에 글을 쓰면서 매몰찬 지적을 많이 받았다. 개중에는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구체적인 지적도 없이 ‘글을 쓰겠다는 꿈은 버리는 게 좋겠네요’라는 무성의한 비난을 받은 적도 있다. 예전에는 그런 피드백을 주는 사람이 마냥 미웠다. 하지만 장점 찾기의 중요성을 알고 난 뒤에는 오히려 그런 사람이 불쌍하게 느껴진다. 단점조차도 구체적으로 지적할 줄 모르는 사람이라면 장점 찾기의 기회를 살리기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나는 그런 과오를 타산지석으로 삼기 위해 항상 장점을 찾으려고 한다. 그렇다고 모든 피드백을 칭찬으로만 하는 것은 아니다. 분명히 지적해야만 하는 큰 단점이 존재할 때가 많다. 그럴 때는 단점도 지적하지만, 동시에 장점도 함께 언급하려고 한다. 단점만 지적하는 게 훨씬 쉽지만, 장점도 지적해야 제대로 된 피드백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특히 피드백을 받는 입장에서는 장점도 알려주는 게 매우 좋다. 자신이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장점이 알려주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가 장점 찾기에 익숙하고 관대해질 때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생각보다 많은 장점이 단점에 가려 빛을 받지 못한다. 그런 요소들을 끄집어 올리면 그만큼 성공의 기회가 많아지고 세상은 더욱더 풍요로워질 것이다. 그러니 우리 장점을 찾는 데 힘을 쏟아보자. 칭찬에 인색하지 말자. 성공의 기회가 그곳에 있을 것이다.

참고 : 인터넷에서 피드백 받는게 힘든 이유.jpg, PGR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