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이 하나도 들어오지 않는 깜깜한 독방에서 혼자 1달을 버티는 건 가능한 일일까? 한 커뮤니티에서는 한 달 버티면 1억의 현실이라는 글이 화제가 되고 있다. 호주의 프로 포커 갬블러인 Rich Alati는 7가지 악조건 속에서도 포커페이스를 유지하며 버텨내 결국 한화 약 7,230만 원을 얻게 되었다. 환각이 보일 정도로 쉽지 않은 상황이었지만 그가 끝까지 버텨낼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지금부터 사연의 주인공이 끝끝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던 비결 3가지에 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1) 긴장한 모습을 절대 보이지 않는다

깜깜한 독방에서 혼자 지낸 리치는 독방에서 혼자 보내기가 절대 쉽지 않았다는 말을 전했다. 눈이 보이지 않으면 상대적으로 다른 감각들이 더 민감해진다고 한다. 환각이 보일 정도로 힘든 상황이었지만 그는 프로 포커 갬블러답게 포커페이스를 유지했다. 열흘이 지나도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이는 리치를 보고, 주최자는 결국 15일째 되는 날 독방에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2주를 버텼으면 할 만큼 했다. 5만 달러(한화 약 5,800만 원)를 주겠다”라고 협상을 제안했다. 이에 리치는 코웃음을 치며 거절하고, 결국 20일째 되는 날 협상 끝에 한화 약 7,230만 원을 받기로 하고 밖으로 나오게 되었다. 끝까지 포커페이스를 유지하여 상대방을 오히려 긴장시킨 것이다. 

2) 명확한 목표 세우기

리치에게는 깜깜한 독방에서 30일을 버티고 10만 불을 받겠다는 명확한 목표가 있었다. 그리고 버티지 못하면 오히려 상대방에게 10만 불을 줘야 한다는 강력한 환경설정이 있기도 했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해 고민하지 않았을까. 만약 언제 나갈지에 대한 기약이 없고, 현재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흘렀는지를 알 수 없다면 결과는 달라질 수도 있었을 것이다. 명확한 목표는 어려운 상황을 이겨내는 강력한 원동력이 된다는 사실을 기억해두자.

3) 실패에서 회복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결국 해내는 사람의 특징 중 한 가지는 실패에서 회복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이다. 이를 조금 더 깊이 파고들면, 꿈을 실현하는 욕구가 매우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패 회복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대담한 목표를 향해 가는 데 있어서 외적인 방해를 싫어하고, 그것을 추진해 가는 과정이 힘들고 고통스러워도 빠르게 극복할 수 있다.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 고통의 정도는 비슷하지만, 꿈을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훨씬 강하기 때문에 실패 경험과 고통을 감당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3가지는 의식적 노력을 통해 충분히 기를 수 있는 능력들이다. 끝까지 해낸 사람들에겐 저마다의 이유가 존재한다. 이들의 비결을 참고해서 인생에 미리 적용해두면 새로운 기회가 찾아왔을 때 분명 큰 도움이 되는 게 아닐까.

참고: 

1) <한달 버티면 1억의 현실.jpg>, 보배드림(https://www.bobaedream.co.kr/view?code=strange&No=4123995&bm=1)

2) <강한 정신력을 키우는 6가지 방법>, 유튜브 체인지 그라운드(https://www.youtube.com/watch?v=CI37sod-4-U&t=243s)

3) <결국 해내는 사람의 7가지 차이>, 유튜브 체인지 그라운드(https://www.youtube.com/watch?v=uizG6gq8RYE)

Written by KJ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