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의견이 다를 땐 어떻게 더 부드럽게 대화할 수 있을까?

1) 부정하지 않기

절대 부정식의 대화는 서로의 반감만 불러일으키고 인신 공격형 대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억지 논리는 벗어날 필요가 있지만, 다른 의견 모두를 구체적으로 평가하거나 판단할 필요는 없다. 대화할 땐 상대를 수용하고 감정적 보상을 줄 수 있어야 한다. 편안한 대화가 되려면 긍정적인 시각은 필수다. 상대의 다른 생각을 모두 받아들여야 한다는 말은 아니다. 상처 주지 않으면서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게 중요하다. 예민하게 받아들였던 표현이 있다면 더 주의할 필요가 있다. 상대의 생각과 언어적 특성을 알고 대화 흐름을 잡아가면 더욱 좋다.

2) 발화속도 늦추기

상대의 말이 끝나자마자 곧바로 말을 받아치거나 반응하는 사람이 있다. 대답을 잘하는 건 중요하다. 하지만 상대의 인정을 얻기 위해 아무 생각도 거치치 않고 섣불리 반응하는 건 좋지 않다. 원칙 없이 듣기 좋은 말만 해서도 안 된다. 빠르게만 대답하면 진정한 신뢰와 존중을 얻기 어렵다. 언쟁이 생겼을 때 지기 싫은 마음에 직설적으로 바로 말을 뱉어서도 안 된다. 말하는 속도와 반응 속도를 조금만 늦춰도 상황 전환이 쉽고 대화를 다르게 풀어갈 수 있다.

3) 다른 시각 제시하기

만약 상대가 불평불만을 자주 말한다면 쉽게 동조하거나 부정하기보다 다른 시각을 제시해보면 좋다. 질문에 대한 대답을 객관식으로 바꾸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된다. 상대에게 대답의 선택권을 주면서 여지를 남기면 다른 제안을 더 잘 받아들게 된다. 상대가 자기 처지에서 문제를 생각하고 있다고 느끼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대의 말에 귀 기울여 반응하면 생각지 못했던 대답을 들을 수도 있다. 대화 방식은 문제를 바라보는 태도와 관련 있다. 열린 마음을 가지면 어디서든 좋은 언어습관과 폭넓은 시각으로 상대를 배려할 수 있을 것이다. 상대의 감정을 돌볼 수 있을 때 진정한 소통이 가능하다는 것을 기억하자.

참고

1) <여러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네이트판

2) 책 <끌리는 말투에는 비밀이 있다>

Written by LA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