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인의 이야기를 들을 때 제대로 된 사고를 해야 한다. 단순히 5억이 올랐으니 부럽다가 아니라 더 깊이 있게 사고할 줄 알아야 한다. 특히 감정, 편견 또는 권위에 사로잡히지 않고 어떤 것을 객관적으로 분석한 후에 결론을 내리는 비판적 사고가 필요하다. 하지만 많은 사람이 의사결정을 할 때 비판적 사고를 하는 걸 어려워한다. 중요하지만 어려운 비판적 사고를 일상생활에서 키울 방법 세 가지에 대해 지금부터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첫째, 아침에 한다.
사람들은 의사결정을 위한 에너지를 온종일 사용하기 때문에 에너지가 고갈되는 저녁에는 형편없는 결정을 할 확률이 높다. 그러니 수많은 결정으로 쌓일 피로를 피해 중요한 문제는 아침에 결정해보자.
둘째, 한걸음 물러나야 한다.
때로는 비판적 사고를 너무 잘해도 문제이다. 어떤 사람들은 판단력이 빨라 어려운 문제를 막힘없이 잘 풀어낸다. 하지만 이런 사람들은 진정한 비판적 사고를 하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의 아주 중요한 부분인 반성적 사고가 필요하다. 한 발짝 뒤로 물러나서 논쟁이나 문제를 더 오랫동안 관찰하는 방법 말이다. 한 연구에 따르면 결정을 10초 뒤로 미룬 후에 했을 때 정확도가 더 높아졌다고 한다. 핵심은 10초만 더 기다리면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다는 뜻이 아니라 생각할 시간을 충분히 갖는 것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셋째, 감정을 내려놓는다.
비판적 사고를 연습하기 좋은 방법은 여러 가지 견해를 들어볼 수 있는 토론이다. 개인적인 견해가 강한 주제에 관해 토론할 때 감정을 내려놓지 않으면 감정이 앞서서 객관적으로 생각하기가 어렵게 된다.
우리의 직감은 항상 무엇을 해야 한다고 알려준다. 문제는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직감은 종종 편향되어 있다는 점이다. 직감의 오류를 피하고 싶다면 일부러 비판적 사고를 해보자. 떠오르는 것 말고도 다른 대안이 어떤 게 있을까 생각해 보는 것이다. 직감과 대안을 비교하다 보면 비판적 사고를 통해 더 객관적인 선택을 할 수 있다는 걸 명심하자.
참고 :
1) 집값 5억 오른 부장님, 에펨코리아
2) 비판적 사고를 하며 글을 잘 쓰는 법 [빡세게 독서, 빡독], 유튜브 체인지그라운드
3) 일상생활에서 비판적 사고를 키우는 5가지 팁, 유튜브 체인지그라운드
Written by 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