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가 두려운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실패를 경험하면서도 어떤 이는 그걸 잘 극복하기도 한다. 과연 그들의 차이는 무엇일까? 지금부터 실패해도 잘 극복하는 사람의 특징 3가지에 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첫째, 작은 성공을 자주 맛본다.
작은 성공을 자주 경험해본 사람은 실패도 겸허하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작은 성공 경험이 하나도 없는 사람은 실패가 누적되었을 때 무기력에 빠질 수밖에 없다. 그러니 지금까지 하던 일이 잘 안 풀려서 힘든 상태라면 아주 사소한 일에서 성공 경험을 쌓아보자. 그 성공이 하나하나 쌓여 자기효능감을 올리는 기초가 된다는 걸 잊지 말아야 한다.
둘째, 이 일을 하는 본질적 의미를 되찾는다.
시도한 일마다 실패한 적이 없다면 그것이야말로 지금까지 ‘진짜 도전’을 한 적이 있는지 돌아볼 수 있어야 한다. 지금 실패한 일이 내가 진짜 원하던 일인지, 왜 이 일을 시작했는지 그 본질적인 의미를 다시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한두 번의 실패로 그만두고 싶은 마음이 든다면 어쩌면 진짜 간절하게 원하는 게 아니었을 확률이 높다. 실패했다고 좌절하는 게 아니라 시도를 멈추는 게 진짜 위험한 태도라는 걸 잊지 말자.
셋째, 결과는 내 통제 영역 밖이라는 걸 인지한다.
내가 열심히 했다고 결과까지 좋다는 보장은 그 어디에도 없다. 성공은 보장되지 않아도 성장이라는 건 반드시 보장될 수 있는 부분이다. 결과는 내가 어떻게 통제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 그 시기에 운이 나빠서 안 될 수도 있는 것이고 더 뛰어난 경쟁자가 몰렸을 수도 있다. 오히려 운이 좋아 실력도 없는데 내 결과가 좋게 나왔다면, 그게 과연 장기적인 관점에서 내게 좋은 걸까? 통제 영역 밖인 결과에 연연하기보다 어떻게 하면 진짜 내공을 쌓을 수 있을지에 집중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실패는 단지 과정이라는 사실을 기억한다면 힘들어하고 있을 새도 없다는 걸 알게 된다. 어느새 툭툭 털고 일어나 다시 도전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지도 모른다.
참고 :
1) 무력감을 일으키는 의외의 이유 1가지, 유튜브 독서연구소 (링크)
2) 작은 것의 힘, 이이슬링 레너드 커틴
3) 이미지 출처 : 드라마 <괴물>
Written by 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