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인머스켓의 맛이 떨어진 이유를 알게 되었다면 그 해결을 위해서는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단순히 한 가지 문제만을 물고 늘어지면 잘못된 전략이 나올 수 있다. 그러니 우리는 이럴 때 맥락적 사고를 해야 한다. 그렇다면 맥락적 사고를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관련 사항에 대해 깊은 지식이 있어야 한다.

깊은 지식이 없다면 맥락적인 사고 역시 할 수 없다. 여기에서 깊은 지식은 지식의 탐색뿐만이 아니라 심화까지를 말한다. 기업의 경우 위기 대처에서도 예방 마인드와 향상 마인드를 균형 있게 가진 기업일수록 어려움을 극복할 가능성이 컸다. 깊은 지식은 한 방향으로 치우친 전문화를 뜻하는 게 아니라 넓고 깊으며 균형 있어야 한다는 걸 잊지 말자.

둘째, 모순적인 요소를 품을 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자신의 감정, 선입견, 신념 등을 냉정하게 다스릴 줄도 알아야 한다. 대립적으로 보이는 것들을 균형감 있게 생각할 수 있어야 하므로 쉽지 않다. 하지만 쉽지 않을수록 그런 자세를 항상 유지하려고 한다면 점점 이런 마인드가 몸에 익숙해지는 날이 온다.

셋째, 상황이 바뀌면 장점이 단점이 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비즈니스 세계에는 변화가 일반적이다. 변화를 두려워하면 살아남을 수 없다. 그러니 과거에 성공한 방법으로 이번에도 해보려고 하는 것 자체가 큰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 상황은 장점을 단점으로, 또는 단점이 장점으로 될 수 있게끔 한다. 그러니 맥락적 사고를 잘 유지한다면 위기도 기회가 될 수 있다.

맥락적 사고를 한다는 것은 항상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고 반성적 사고를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맥락적 사고를 하는 건 정말 쉽지 않다. 하지만 이런 맥락적 사고가 습관화되어 있다면 그 사람은 비즈니스 리더로서 최고의 조건을 갖춘 셈이라 말할 수 있다.

참고

1) <요즘 샤인머스켓이 맛없는 이유.jpg>, 뽐뿌

2) <일취월장>, 고영성/신영준 저

※ 본 콘텐츠는 로크미디어로부터 제작비를 지원받았습니다.

Written by 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