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는 일마다 안 풀리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면 스스로에 대한 믿음도 점점 약해질 수밖에 없다. 자신감도 떨어지고 새로운 시도를 하는 게 더욱더 두려워진다. 이런 악순환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지금부터 하는 일마다 잘 안 풀리는 사람의 특징 3가지에 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첫째, 한 두 번의 시도만으로 잘 될 것이라 기대한다.

여러 번 실패하면 자존감이 떨어진다. 하지만 실패 자체가 나쁜 것만은 아니다. 원하는 꿈을 위해 도전했다면 한 두 번의 실패는 끝이 아니라 과정일 뿐이다. 왜 실패했는지 고민하고 다시 도전한다면 실패는 좋은 경험이 된다. 한 두 번의 시도만으로 잘 될 것이라 기대했다면 그건 어쩌면 도전이 아니라 도박이나 로또 당첨을 기대한 것일지도 모른다. 그렇게 시도했다면 지금까지 했던 건 도전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내가 했던 게 과연 도전이었는지 도박이었는지 곰곰이 따져볼 필요가 있다.

둘째, 차분하게 자신에 대해 분석하는 시간을 가지지 않는다.

실패를 성장을 위한 과정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전략 수정이 불가피하다. 실패했다고 막연한 정신승리로 무장할 게 아니라 차분하게 시간을 가지고 왜 실패했는지 돌아볼 수 있어야 한다. 실패했는데도 분석하지 않고 같은 방식으로 도전한다면 이 또한 문제다. 실패를 성공으로 가기 위한 경험으로 만드느냐 아니냐는 자기반성과 전략 수정에서 나뉜다는 걸 기억하자.

셋째, 임계점을 돌파해본 경험이 없다.

임계점을 돌파한다는 건 새로운 세계가 열린다는 걸 말한다. 0.9의 노력을 했어도 1이라는 임계점에 도달하지 못했다면 0.9의 노력도 0.1이나 0과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잔인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또 한편으로는 임계점을 돌파한 이후에는 더 수월하게 일이 풀릴 수 있다는 걸 의미하기도 한다. 아무리 해도 일이 잘 풀리지 않는다면 방법을 달리해보거나 더 이를 악물고 몰입을 하는 경험을 해봐야 한다. 그렇게 딱 한 번이라도 임계점을 넘는 경험을 해보면 ‘하는 일마다 잘 안 풀린다’는 소리가 쏙 들어가게 된다.

참고 :

1) 인생은 실전이다, 신영준/주언규

2) 이미지 출처 : 드라마 <라이브>

Written by 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