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더 싸게 살 기회가 온다

-주식을 그래도 일부분 가지고 있어야 해요. 안 가지고 있으면, 더 떨어질 것 같을 때 돈이 없어서 못 삽니다. 늘 물에 발목을 잠그고 있어야 하거든요. 물이 찬지 더운지 느낄 수가 있거든요. 늘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삼성전자는 견디면 된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돈이 생길 때마다 삼성전자를 샀어요. 주가가 국내 대표주가이고 100배 이상 올랐거든요. 국민들이 많이 사셨다고 하더라고요… 9만 6천원에서 지금 7만 전자가 됐죠. 마음 고생이 많으실 텐데… 저는 앞으로 몇 개월 더 떨어질 수도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보려면 삼성전자는 오르거든요. 86년에 전기업종 주가가 108배는 올랐습니다.

-100배가 넘게 올랐네요

-강남 아파트는 아파트 따라 다르지만 지수에 따르면 9배 올랐습니다. 주식도 오래 가지고 있으면 훨씬 오른다는 거죠. 주식은 변동성이 심하다 보니… 굉장히 견디기 힘드실 수가 있는데요. 몇 년 지나면 다시 오른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섹터를 사면 그런 부분에서 자유로울 수 있겠네요.

-내년 상반기 하반기 주식시장 많이 떨어진다고… 그럴 때 이제 고통이 올 수 있는데요. 싸게 사는 것도 기회고 기다리면 다시 오른다는 것이죠. 우리나라 우량 주식은 이런 식으로 기다리시면 될 것 같습니다.

버틸 수 있으면 버티고 팔 거면 반만 팔아라

우리 나라가 구조적으로 저성장 저금리 국면으로 들어섰습니다. 금리가 오르지만 잠재성장률 2030년 1%에 근접할 겁니다 2030년이 지나면 0%에 들어설 것이고요, 기업이 과거보다 돈을 덜 쓰니까 은행이 채권을 살 수 밖에 없고, 금리는 계속 떨어집니다. 구조적으로 저금리시대에 들어섰고 앞으로 금리가 더 떨어질 겁니다.

직장 들어가서 일단 현금을 모아라

-그래서 지금 젊은 사람들이 100세까지 살며서 주식투자를 할 수밖에 없거든요, 직장에 들어가서 우선은 돈을 모아야하고 지금 기본기를 튼튼히 갖춰둔 다음에는 나중에 부자로 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작년에 보니까 주가가 많이 올랐는데요. 두 증권회사 데이터를 받아 분석해봤어요. 보니까 20,30대 수익률이 가장 낮더라고요

-왜 그랬을까요?

-단기 투자를 했죠, 신용융자율이 20~30대가 가장 많습니다. 가진 돈이 별로 없기 때문에 빌려서 투자하는데요, 그렇게 되면 증권회사에서 장기로 빌려주지 않고 3, 6개월 이렇게 짧은 기간동안 금리를 높게 해서 빌려주기 때문에 단기 투자를 하게 됩니다. 주가가 떨어질 때는 단기 투자가 더 이익이 날 수 있지만 작년같이 꾸준히 오르는 시기엔 단기 투자가 수익률이 낮습니다. 젊은 분들이 멀리 보고 투자해야할 것 같아요. 증권회사 20년 애널리스트 근무하고 분석, 투자를 해왔습니다. 결론은 하나예요. 주가는 장기적으로 좋은 주식을 사서 오래 기다리자. 이게 돈 버는 방법입니다.

돈을 좀 모은 30,40대는 현금비중을 늘리는 게 좋겠죠?

현금비중 늘렸다가 이후에는 주식투자 적극적으로 하셔야 합니다. 지금 30,40대는 승진하고 월급이 올라가는 시기예요. 소득이 계속 들어오거든요. 소득이 늘어나는 시기이기 때문에 저축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은행에 저축해봤자 금리가 0, 1% 사이입니다. ‘72’ 법칙이라는 게 있습니다. 복리가 2배가 되는 기간인데요. 금리 9%는 8년후에 원금이 2배가 됩니다. 그런데 지금 금리가 1%라면 72년이 지나야 원금이 2배가 됩니다. 평생 해야 두배가 되는 것이죠. 주식을 할 수밖에 없어요. 소득이 계속 늘어나는 국면이기 때문에요, 현금을 가지고 계신 것 좋지만 주식 비중을 계속 늘려가라는 것이죠. 내년에 좋은 기회가 오리라 보고 있기 때문에 현금성 자산을 지금은 가지고 있고 내년 하반기에 주식비중을 과감히 늘리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글로벌 경제 흐름만 알아도 투자할 수 있는 상품

과거에는 기업을 사야해서 버스, 기차 타고 기업을 방문했어야 했지만 지금은 다양한 ETF가 있거든요. 국내 상장된 게 500개가 넘습니다. 글로벌 경제 흐름만 알면 ETF로 얼마든지 이익을 낼 수가 있거든요. ETF에 여러 자산도 준비되어 있고요. 개별종목 사면 물론 오르면 수익률이 높지만 기업을 잘 모르고 잘못사면 기업이 없어질 수도 있고요 저는 ETF 투자를 많이 권유하고 있어요.

이 책에서 특별히 권유드리는 것은 중국 전기차 ETF를 많이 사시라는 거예요. 전세계가 탄소제로시대를 향한 목표를 세우고 있는데 핵심이 전기차고요, 자율주행차 등 4차 산업은 융합이죠. 모든 기술이 융합이 되는 것이고 특히 중국에서 전기차가 굉장히 많이 늘어날 것이다, 저는 책에서 이걸 좀 사시자라고 이야기를 드리는데요, 그렇게 하고 나서 7개월만에 80% 정도 올라버렸습니다.

-이미 너무 많이 오른 거 아닌가요!

-조정을 보일 겁니다. 어쨌든 이건 추세라고 보고 있어요. 앞으로도 5, 10년 지속될 추세라고 보기 때문에 조정을 보일 떄마다 한 번에 사시지 마시고 매달 꾸준히 조금씩 사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특히 중국이라면 섹터로 사는 게 좋을 것 같은데요.

-네 개별 종목은 사지 말고요, 섹터로 하는 게 좋을 것 같고요. 하이브리드 캐피탈리즘이라고 하는데 어떤 때는 자동차를 기름으로도 하고 전기로도 하고 정부가 마음대로 할 수가 있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ETF가 좋아보입니다.

은퇴를 앞둔 세대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은퇴를 앞둔 세대는 주식투자 장기 상승 보기에는 어려울 수 있잖아요 생활비를 써야하기도 하고… 자산은 있지만 현금 흐름은 없는 이런 상황이라면 어떻게 준비하는 게 좋을까요?

-나갈 사무실과 적당한 용돈이 있어야 한다는 말이 있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업이 있어야 하거든요. 사장 부사장 하다가 나오면은 거기서 끝나는데 어떤 업이 있어서 한달에 30만원 받는다면 은행에 1억을 예금해봤자 한달 이자가 10만원도 안 되기 때문에 어떤 일을 해서 30만원 받으면 3억 금융자산과 같은 현금흐름이에요. 은퇴후에도 무슨 일이라도 하시는 것이 좋겠고요. (영상에서 이어집니다)

※ 본 콘텐츠는 업로드를 허가받았습니다.